머신러닝 금융시장 분석
현재 글로벌 주식시장은 강세장 으로 판단됩니다.
앞으로 다른 국면으로 전이될 확률은,
- 강한 약세장
5% 미만 - 평균적인 보합 - 약세장
5% 미만 - 평균적인 보합 - 강세장
29% - 강세장
66%
- 강한 약세장주식 수익률이 매우 좋지 않은 국면으로 주식이 꾸준히 하락하며 중간 중간 급락성 출렁임이 관찰되는 장세입니다.
- 평균적인 보합 - 약세장평균적인 수익률이 좋지 않으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, 앞으로 더 상황이 악화될 수 있는 변곡점을 눈앞에 두고 있는 장세입니다.
- 평균적인 보합 - 강세장긴 기간동안 가장 많이 관찰되는 국면으로 주식의 수익률이 비교적 좋으며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장세입니다.
- 강세장수익률이 매우 좋고 변동성 또한 높은 국면으로 주로 약세장에서 강세장으로 돌아선 변곡점 직후이거나 약세장으로 반전되기 직전에 나타나는 장세입니다.
Financial Market CNN Deep learning
S&P 500 전기간

2025년 05월 21일 기준

현재의 시장 상황은 과거 2013년 03월의 시장 상황과 흡사하다는 머신러닝의 결과가 나왔습니다.
그 이유로 로보라이더는 UST10Y, UST30Y, CB10.0을(를) 꼽고 있습니다. 이 세가지 자산/지표의 움직임이 유사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시장 상황을 판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정보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UST10Y은(는) 평소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. UST30Y은(는) 평소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. CB10.0은(는) 평소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. 2013-03-01일자와 현재의 실제 데이터의 흐름은 다음의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과거(2013-03-01)
- 현재(2025-05-21)
-
- S&P500미국 대표 주가지수
- DJI제조업 주식 지수
- FTSE100영국 대표 주가지수
- UST1M단기 미국 국채 수익률
- UST10Y장기 미국 국채 수익률
- UST30Y초장기 미국 국채 수익률
-
-
- CB0.5초단기 미국 회사채 수익률
- CB10.0장기 미국 회사채 수익률
- USD미국 달러지수
- GOLD금 가격
- OIL원유 가격
- COPPER*구리가격
-
-
- VIX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
- PMI*구매관리지수
- Inflation물가지수
- Labor*노동시장 지수
- House주택가격 지수
-
* 구리가격: 제조업에서 많이 쓰이는 원료 중에 자산시장에서 거래가 가장 활발 한 것 중 하나로 제조업 활황 정도를 간접 측정할 수 있습니다.
* 구매관리지수: 제조업의 구매관리 담당자가 체감하는 경기의 활황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로서 공급자 측면에서의 경기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.
* 노동시장지수: 미국 연방제도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실업률, 급여의 수준 등 노동시장의 조건을 지수화 한 것입니다.
* 구매관리지수: 제조업의 구매관리 담당자가 체감하는 경기의 활황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로서 공급자 측면에서의 경기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.
* 노동시장지수: 미국 연방제도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실업률, 급여의 수준 등 노동시장의 조건을 지수화 한 것입니다.